반응형
불과 얼마전 까지 과학자들은 뇌가 국소적으로 고정 되어있거나 배선 되어있다고 여겼으나
뇌 스캔을 통해 뇌가 변화할 수 있다는 가소성을 알게 되었고
그래프먼은 자신의 연구에서
첫 번째 '뇌 지도의 확장', 두번째 '감각의 재배치', 세번째 '보상적 가장'(대체 전략),
네번째 '거울영역' 즉 한쪽 반구의 일부가 파괴되면 반대편 반구의 거울영역이 적응해서
그 정신적 기능을 최대한 인수한다는 가소성을 밝혔다.
저자는 수많은 다른 연구들과 인간승리의 임상적 기록들을 통해 뇌가소성이 우리 본성의
제한적 측면과 자유로운 측면 둘 다에 기여하기 때문에 가소성을 어떻게 가꾸느냐에 따라
인간의 경직성과 유연성 둘 모두에 기여할 수 있다고 하였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