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물리(세상의 이치)와 신경282

4부: 감정 없는 마음 4부: 감정 없는 마음 정보를 처리하는 기계와 삶을 경험하는 존재를 구분하는 것은 무엇일까? 그것은 감정이다.감정은 인간 의식에서 단순한 부수적인 것이 아니라 인지의 토대이다.배고픔, 두려움, 호기심, 사랑 같은 감정이 없다면 행동할 이유도, 기억할 이유도, 어떤 것을 다른 것보다 더 중요하게 여길 이유도 없을 것이다. 여기서 우리는 감정과 동기가 생물학적 의식의 근간이 되는 방식을 살펴보고, 미래에 인공지능의 의식이 등장한다면 육체와 피로 진화된 마음의 깊이, 방향성, 실존적 활력이 부족할 수 있는 이유를 알아보자. 감정이 의식에 중요한 이유동물은 혼란스럽고 예측할 수 없는 세상에서 살아남기 위해 생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느낄 수 있도록 진화해왔다. 정글을 걷고 있다고 생각해 보자. 호랑이와 마주쳤.. 2025. 5. 7.
3부: 자연이 만든 마음과 코드가 만든 마음(Minds Built by Nature and Minds Built by Code) 3부: 자연이 만든 마음과 코드가 만든 마음(Minds Built by Nature and Minds Built by Code) 마음은 무엇으로 만들어지는가? 의식은 육체와 피의 부산물인가, 아니면 실리콘과 코드 속에서도 나타날 수 있는 것인가? 만약 그렇다면, 우리가 "의식"이라고 부르는 것과 비슷한 모습이 될까?인공지능 의식의 미래를 이해하려면 먼저 인간의 의식이 어디에서 유래하는지 이해해야 한다. 그리고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다른 종류의 마음이 우리의 마음과 어떻게 다른지 이해해야 할 것이다.인간은 오랫동안 의식이 통합된 것이라고 생각해 왔다. 다른 동물들은 의식을 가지고 있거나 가지고 있지 않을 것이라 생각했다. 하지만 과학은 이와 다르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의식은 하나의 실체가 아니라 스펙트.. 2025. 4. 28.
2부: 문어, 박쥐, 외계인의 표상 2부: 문어, 박쥐, 외계인의 표상 강력한 인공지능을 개발하기 위한 경쟁에서 우리는 종종 인간의 특성을 기계에 투영한다. 우리는 AI가 "알고 있다", "생각한다", "결정한다", 심지어 "느낀다"라고 말한다. 하지만 이러한 의인화된 언어는 더욱 신중히 사용해야 할 것이다. 그 이유는 바로 마음이 신경 알고리즘으로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마음은 신체에 뿌리를 두고, 진화를 통해 형성되었으며, 생명의 재료로 만들어졌다.생물학적 생명체들 사이에서도 마음은 근본적으로 다르다고 볼 수 있다. 문어의 지능, 박쥐의 음파의 반향을 기반으로 하는 지각, 외계인의 이해하지 못할 마음 을 생각해 보자. 뉴런과 신경계를 가진 이러한 생명체들이 우리가 이해하기 어려운 방식으로 세상을 표상(representation.. 2025. 4. 21.
인공지능의 마음(AI Minds)1부 인공지능의 마음(AI Minds) 우리는 인공지능에 대해 이야기할 때 "기계가 인간처럼 생각할 수 있을까?"라는 질문을 던진다. 인공지능이 진화하고 일부에서 "의식"이라고 부르는 것에 점점 더 가까워짐에 따라, 인간의 의식과 AI의 의식은 동일하지 않을 것이라는 점이 더 명확해지고 있다. 우리의 의식이 문어, 박쥐, 어쩌면 외계인의 의식과 다른 것처럼, 두 의식은 서로 다를지도 모른다.1부: 체화된 마음(The Embodied Mind)우리는 지능형 기계를 만들기 위한 경쟁에서 지능이란 본질적으로 머리로 하는 작업이라는 암묵적인 가정을 한다. 우리는 적절한 종류의 정보 처리, 특히 인간의 뇌가 처리하는 종류의 정보 처리를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면, 정신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신경과학자.. 2025. 4. 14.
아바타 속의 의식과 신체(Consciousness and the Body in Avatar) 아바타 속의 의식과 신체(Consciousness and the Body in Avatar)"모든 것이 이제 뒤바뀌었다. 마치 저 밖에는 진짜 세상이 있고, 여기 안에는 꿈이 있는 것 같다." – 아바타의 제이크 설리 제임스 카메론 감독이 2009년 아바타를 공개했을 때, 관객들은 눈부신 영상과 장대한 서사에 사로잡혔다. 하지만 그것뿐만 아니라 외계행성의 풍경과 첨단 무기 이면에는 깊은 철학적, 심리적인 의식, 신체, 정체성에 대한 의미가 있다. 영화 아바타는 인간의 정신이 유전자 조작된 외계 신체로 옮겨질 수 있는 세상을 상상할 수 있게 해준다. 이것은 철학과 신경 과학 모두에서 가장 오래되고 지속적인 질문 중 하나이다.자아는 어디에 존재하는가?감독은 아바타에서 인간의 의식을 나비족의 신체로 옮기는 것.. 2025. 4. 7.
포모(FOMO): 소외되는 것에 대한 두려움(영화 레디 플레이어 원) 포모(FOMO): 소외되는 것에 대한 두려움(영화 레디 플레이어 원) 현실이 너무나 암울해서 모든 사람이 가상의 유토피아에서 시간을 보내는 것을 선호하는 세상, 스티븐 스필버그가 감독하고 어니스트 클라인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레디 플레이어 원 (2018)에서 이런 일이 일어난다. 이 영화는 물리적 삶이 지루하고 우울한 디스토피아적 미래를 보여주며, 사람들이 OASIS 라는 디지털 세상에서 스릴, 지위, 모험을 추구하게 한다 사람들이 디지털 공간에 참여하도록 압력을 받고, 가상의 보상을 잃을까 두려워하며, 실제 관계보다 온라인 경험을 우선시하는 방식을 보여준다.사람들은 왜 OASIS를 놓치는 것을 두려워할까? OASIS는 모험과 흥분의 장소이다. 외부의 평범한 현실과 달리 스릴, 창의성, 무한한 기회를 제.. 2025. 3. 31.
지구의 생명은 우주에서 왔을까? (Did Life on Earth Come from Outer Space?) 지구의 생명은 우주에서 왔을까? (Did Life on Earth Come from Outer Space?)지구의 생명은 어디에서 왔을까? 전통적인 과학 이론은 생명이 초기 지구의 원시적 조건에서 발생했다고 제안하고있다. 하지만 만약 생명이 지구에서 시작되지 않았다면 어떨까? 만약 우주에서 왔다면?범종설(panspermia hypothesis) 로 알려진 이런 가설은 생명의 기원에 대한 우리가 믿고 있던 기원설에 도전하며, 지구의 첫 유기체(또는 적어도 그들의 구성 요소)가 우리 행성 밖에서 왔을 수 있다고 제안한다. 하지만 이 이론은 얼마나 현실적일까? 우리가 정말로 성간 방랑자의 후손일 수 있을까?우주의 어떤 측면에서 우리가 외계인일 수도 있다는 생각의 이면에 있는 과학, 증거, 그리고 흥미로운 가능.. 2025. 3. 24.
"미키 17"과 테세우스의 배("Mickey 17" and the Ship of Theseus) "미키 17"과 테세우스의 배("Mickey 17" and the Ship of Theseus) 봉준호 감독의 SF 영화 "미키 17"에서 복제된 인간 정체성이라는 개념은 영화에서 다루는 이야기의 핵심이며, 개성, 윤리, 사회 구조에 대한 심오한 이야기를 내포하고 있다. 에드워드 애쉬튼의 소설 "미키 7"을 원작으로 한 이 영화는 식민지화 임무에서 위험한 작업을 맡은 "익스펜더블" 노동자인 로버트 패틴슨이 연기한 미키 반스의 삶에 관한 탐구이다. 익스펜더블이 죽으면 복제 기술을 통해 재생되고 이것은 정체성과 인격에 대한 복잡한 질문을 제기한다.소모품과 복제의 개념(The Concept of the Expendable and Cloning)"미키 17"의 우주에서 미키와 같은 익스펜더블은 임무의 위험성 때.. 2025. 3. 17.
아이언맨 시리즈 인공지능에서 진화된 비전이 범죄를 저지를 수 있을까? 아이언맨 시리즈 인공지능에서 진화된 비전이 범죄를 저지를 수 있을까?인공지능은 빠르게 진화하고 있지만, 우리는 여전히 아이언맨이나 어벤져스같은 영화에서 존재하는 AI 종류와는 거리가 멀다.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에서 가장 매혹적인 AI 캐릭터 중 하나는 지능, 감정, 도덕적 추론을 가진 진보된 합성 존재인 ‘비전(Vision)’이다.하지만 여기서 중요한 의문이 제기됩니다.비전이 범죄를 저지르면 법적으로 책임을 질 수 있을까?이것은 단순한 공상과학 토론 이상이다. AI의 권리, 자유 의지, 책임에 대한 현실 세계의 토론이 필요하다. 만약 우리가 비전만큼 진보된 AI를 만든다면, 그것을 기계처럼 대해야 할까, 아니면 사람처럼 대해야 할까? 비전이 현재 AI와 다른 점은 무엇일까?실제 세계에서 ChatGPT,.. 2025. 3. 8.
당신이 모르는 뇌(The Brain You Don’t Know You Have) 당신이 모르는 뇌(The Brain You Don’t Know You Have)아침에 일어나면 "나"자신이 주도권을 쥐고 있는 것 같은 기분이 든다. 나는 선택하고, 생각하고, 결정한다. 하지만 실제로 뇌에서 일어나는 일의 대부분은 나의 인식 밖에 있다. 나의 무의식, 즉 나의 생각의 기저에 있는 광대하고 숨겨진 세계는 나 자신이 깨닫기도 전에 이미 결정을 내렸다. 그것은 나의 성격, 감정, 심지어 내가 자신을 보는 방식을 형성한다.당신 마음의 보이지 않는 설계자는 무의식, 잠재의식이라 불리고, 신경과학자 데이비드 이글먼의 책 Incognito 에서 말했듯 뇌의 숨겨진 작동이라고도 불린다. 하지만 이 보이지 않는 힘이 당신을 어떻게 설계할까? 당신은 자신의 생각과 행동을 얼마나 통제할 수 있을까?뇌가 하.. 2025. 2.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