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기억18 트라우마와 기억의 신경과학(소년이 온다)#2 트라우마와 기억의 신경과학(소년이 온다)#2 트라우마에서의 해리와 단편화된 기억(Dissociation and Fragmented Memory in Trauma)심각한 트라우마의 경우, 뇌는 해리를 대처 메커니즘으로 사용할 수 있는데, 이는 개인이 압도적인 감정적 고통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정신적으로 트라우마 사건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말한다. 해리는 뇌가 본질적으로 정상적인 처리 메커니즘을 차단하기 때문에 트라우마 경험의 일부에 대한 단편적인 기억이나 기억 상실로 이어질 수 있다.“소년이 온다”에서 이 해리 요소는 등장인물이 자신의 경험이나 목격한 사건과 단절된 것처럼 보이는 장면에서 반영된다. 예를 들어, 소설 속 특정 인물들은 학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기억하기 위해 애쓰거나 자신의 기억과.. 2024. 10. 28. 트라우마와 기억의 신경과학(소년이 온다)#1 트라우마와 기억의 신경과학(소년이 온다)#1 기억 부호화와 해마의 역할(Memory Encoding and the Role of the Hippocampus)신경과학에서는 트라우마 기억이 일반 기억과 다르게 처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기억 형성과 관련된 가장 중요한 뇌 구조 중 하나는 새로운 경험을 장기 기억으로 인코딩하는 역할을 하는 해마이다. 그러나 충격적인 사건이 발생하면 신체의 스트레스 반응이 높아지고 코르티솔과 같은 스트레스 호르몬의 방출이 해마의 기능을 손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혼란은 트라우마 사건에 대한 단편적이고 분리된 기억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는 외상 생존자에게서 흔히 나타나는 현상이다.“소년이 온다”에서 다양한 등장인물이 광주민주항쟁에 대한 불완전하고 주관적인 기억을 제공하는 서.. 2024. 10. 21. 마음의 탐험(Exploring the Mind): Pixar의 영화"인사이드 아웃(Inside Out)" #2 마음의 탐험(Exploring the Mind): Pixar의 영화"인사이드 아웃(Inside Out)" #2 영화 '인사이드 아웃'은 개발 과정에서 심리학자와 신경과학자들의 의견을 바탕으로 심리학적 개념을 정확하게 묘사한 것으로 호평을 받고 있다. 영화에 묘사된 몇 가지 주요 과학적 개념에 대해서 살펴보자. 감정 조절(Emotion Regulation) : 영화는 다양한 감정이 라일리의 행동과 다양한 상황에 대한 반응을 어떻게 조절하는지 보여준다. 이는 균형 잡힌 정서적 반응이 적응 기능에 중요한 감정 조절에 대한 심리적 이해를 반영하는 것이다. 기억 통합(Memory Consolidation) : 수면 중에 단기 기억이 장기 기억으로 옮겨지는 과정을 통해 기억의 저장과 인출 과정이 묘사된다. 이는 뇌.. 2024. 6. 24. 의식의 인지과학 (the cognitive science of consciousness) 의식의 인지과학(the cognitive science of consciousness) 인지과학(cognitive science)과 의식(consciousness)의 관계는 복잡하고 다면적이다. 인지 과학은 심리학, 신경 과학, 언어학, 컴퓨터 과학 및 철학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를 포함하는 연구 분야이다. 반면에 의식은 주변 환경, 생각 및 감정을 인식하는 주관적인 경험이다. 인지 과학은 의식의 기초가 되는 신경 및 인지 과정을 이해하는 데 상당한 진전을 이루었다. 신경과학자들은 의식의 경험과 관련된 뇌 활동의 패턴인 의식의 신경 상관물(neural correlates of consciousness)을 확인했다. 예를 들어, 한 연구에 따르면 전두엽 피질(prefrontal cortex)의 특정 활동 패.. 2023. 3. 29. 마음, 정서, 의미, 개념, 추상, 기억 우리의 마음속 정서, 의미, 개념, 추상, 기억들..... 부산시립미술관에 전시되어있는 작품들 입니다. 2015. 7. 7. Theta Oscillations Reflect the Dynamics of Interference in Episodic Memory Retrieval Tobias Staudigl, Simon Hanslmayr, and Karl-Heinz T. Ba¨uml Theta Oscillations Reflect the Dynamics of Interference in Episodic Memory Retrieval (2010) 단서로부터 오는 일화정보를 서술적으로 인출하는 것은 종종 그와 관련된 일화로부터 간섭을 유도한다. 목표가 되는 일화의 성공적인 인출을 촉진시키기 위해서 그런 간.. 2015. 5. 14. 장기강화 장기강화(Long-Term Potentiation) 기억의 저장은 머릿속에 특정한 메모장이 있어서 내용이 새겨진다거나 새로운 세포가 생성되는 것이 아니라 뉴런(신경세포)들 간의 시냅스결합을 통해서 저장되어진다고 여겨진다. 즉 뇌신경계를 이루는 신경세포들이 어떤 자극에 의해 결합을 하고 그러한 .. 2013. 1. 18. 학습과 기억의 연구 학습과 기억의 뇌의 구조물 연구를 위한 조건 뇌의 어떤 영역이 학습과 기억에 필수적인 구조물로 확인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조건을 충족시켜야만 한다; 1) 그 영역을 영구적으로 손상시켰을 때 손상시점이 학습을 시키기 전이라면 그 이후로는 CR(조건반응) 습득이 전혀 일어나지 .. 2012. 12. 20. 헵가소성 헵 가소성 해마는 대부분의 대뇌와 정보가 연결되는 초 수렴지대이다. 이러한 연결에 의한 정보들이 우리에게 필요한 것인지 아닌지에 따라 단기적으로 잡아둘 수도 있고 장기적으로 저장할 수 있게 기억을 공고히하게 한다. 또 작업기억에 필요한 장기기억의 회상이나 상황 조건화 연.. 2012. 11. 19. 뇌를 훔친소설가 Ver. RHA 석영중 지음 저자는 문학작품속의 인물들을 통해서 인간의 내면을 파고들었다. 그런데 그냥 파고든 것이 아니라 문학이라는 인문학을 통해서 자연과학적으로 인간의 내면을 읽어내었다. 요즘 같은 융합의 시대에 걸맞은 소통이 아닌가 싶다. 신경과학에서 근래의 이슈인 거울뉴런, 신경.. 2012. 9. 25.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