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해마와 편도체 기억의 분자생물학적 기전

by Poblor(파블러) 2013. 2. 3.
반응형

 

해마와 편도체 기억의 분자생물학적 기전

 

 

해마와 편도체에서 일어나는 장기강화(LTP)는 어떠한 분자생물학적 기전을 가지는지 알아보자.

 장기강화가 일어나기 위해서는 신호를 전달하는 신경연결(시냅스) 전 세포와 신경연결후 세포가 동시에 활동전위를 일으켜야 하는데 약한 자극의 신호는 신경전달 물질인 글루타메이트(glutamate)를 분비시켜 신경연결 후 세포의 수용체에 결합은 시키지만 활동전위를 일으킬 만큼의 자극은 되지 않는다.

하지만 고빈도의 충분한 자극에서의 글루타메이트 분비는 다음 신경연결의 AMPA수용체에 결합을 하게 되고 이는 Na+를 세포 내로 불러들이게 되어 결국 탈분극을 일으키게한다.

일어난 탈분극은 활동전위를 일으켜서 NMDA수용체를 막고 있던 Mg+가 떨어져 나가게 한다. NMDA수용체가 이런 기전으로 열리게 되면 Ca^2+이 이 곳을 통해 세포 내로 유입되는데 AMPA수용체에 의한 기전 뿐만 아니라 강한 자극의 탈분극이 일어 날 때에도 L-VGCC을 통해서 Ca^2+을 세포 내로 유입시키게 된다.

 

세포 내로 유입된 Ca^2+은 CaMK, MAPK, cAMP의존 인산화 효소, PKA 등의 인산화 효소(Kinase)를 활성화 시키고 신경세포핵 내부의 유전자 전사인자인 CREB을 활성화 시켜 유전자 발현을 일으키게된다. 유전자 발현으로 AMPA수용체와 같은 새로운 단백질을 합성 시키게되고 이로써 이 후의 자극에 대하여 신호전달이 강화되게 된다. 이것을 장기 강화라고 부른다.

 

 

 

AMPA수용체(α-amino-3-hydroxy-5-methyl-4-isoxazolepropionic acid Receptor:채널형 글루타민산수용체 아형의 일종)

NMDA수용체(N-Methyl-D-aspartic acid Receptor)

L-VGCC(L-type voltage gated calcium channel)

CaMK(Ca^2+/Calmodulin-activated kinase)

MAPK(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cAMP의존 인산화 효소(cAMP-dependent kinase)

PKA(Protein kinase)

CREB(cAMP response element binding protein)

 

http://blog.daum.net/ssu42th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