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물리(세상의 이치)와 신경

Embodied Cognition

by Poblor(파블러) 2020. 4. 26.
반응형

"체화된 인지"의 개념은 단순히 '외부 환경을 감각적을 통해 지각하고 그에 따른 지각, 기억의 인출, 의사 결정과 같은 정신적 활동인 좁은 의미의 '인지'가 아니다. 이 개념은 좁은 의미의 인지에서 더 나아가 '자아', '마음', '존재' 그리고 '의미'에 대한 개념이다. 이 모든 추상적 의미가 '몸'이 주체가 된다는 것인데! '존재' 또는 이 세상에서 '나' 라는 자아에서부터 그 의미를 쫓아가야 할 것이다. 

 

이 세상이 하나의 물체로만 가득 채워져 있다면..... 그것은 아무 의미가 없을 것이다. 그 물체의 존재 자체가 아무 것도 없는 '無"와 같기 때문이다. 그래서 일까? 조물주는 또 다른 물체와 같이 존재하게 하였다. 쉬운 예를 들자면- 하나의 물체는 '공기' 그리고 다른 하나의 물체는 '물'이라고 하자! 이 두 물체가 이 세상에 정확히 반으로 갈라져 분리되어 있다면 이 또한 의미가 없을 것이다. 그런 의미없는 '평형상태'를 깨기 위해서 "빅뱅" 또는 다른 사건들-알 수는 없지만-을 통해 하나의 공기 덩어리가 물속으로 섞여버리면 그 자리는 물 한 덩어리가 차지하게 된다. 여기서 하나 불변의 법칙이 있다. "에너지 보존의 법칙", 이것은 아직까지 과학이 확인한 바로는 유일한 진실일 것이다. 공기 한 덩어리가 빠져나간 자리에 아무것도 존재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다른 무엇인가는 그 자리를 메워야 할 것이다. 따라서 에너지 보존법칙에 의해 서로 반대의 세상에 위치한 두 덩어리는 서로 반물질이다. 예전에 우주의 빈 공간은 '에테르'라는 액체로 가득 차 있을 것이라 생각했었다. 

 

공기의 세계에 물 덩어리는 그 존재가 의미있다. 물이 물속에 있을 때는 아무 의미가 없지만 공기의 세계에서는 그 존재가 나타나기 때문이다. 물의 세계에 공기 덩어리 또한 그 존재가 의미가 있다. 이는 "색즉시공 공즉시색(色卽是空空卽是色)"의 이치가 아닌가 생각한다.

하지만 서로 다른 하나의 세계에서 봤을 때, 하나의 덩어리만 서로 다른 세계에 존재한다면 그 또한 의미가 없다. 왜냐하면, 빈 우주 공간에 아무런 별도 달도 없고 다른 존재가 하나도 존재하지 않는다면 '나'라는 자아가 있을까? 앞뒤좌우, 위와 아래는 아무런 의미가 없는 것이다. 이때 또 다른 존재가 생긴다면 그때 서야 비로소 '나'와 '너'의 개념이 생기며 '자아'와 '의미'라는 것이 생겨나는 것이다. 즉, '자아'라는 것은 환경과 또 다른 존재 그리고 '나'라는 존재가 있을때 비로소 개념화 되는 것이다. '체화된 인지'란 구체적인 신체의 경험을 통하여 의미가 생겨난다고 보는 개념이다. 구체적인 신체- 즉, 물리적인 '나'의 존재와 '상대'가 있어야 하며 그 존재들의 환경이 서로 상호작용하여 '의미'와 '마음'이 생겨나는 것이다. 

 

"1+1= 2" 다시 말해서 "나+상대=2명?" 이라는 단순한 생각은 컴퓨터나 현재의 인공지능의 계산능력에 불과하지 않을 것이다. 나와 상대가 만나면 2명 이상의 의미라는 것이 생기고 그것을 만들 수 있는 인공적인 계산기계가 탄생한다면 진정한 '인공 지능'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