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물리(세상의 이치)와 신경

resonance 관련

by Poblor(파블러) 2015. 7. 31.
반응형

 

 

Reflecting on Mirror Mechanism

Michela Loporto. 2013

 

Observing and understanding other people's actions is crucial to our communication and social interactions, By observing others, we create an internal representation of that percived action and use this information to predict future behaviours. Action observation has also been successfully incorporated into clinical stroke rehabilitation programmes, significantly improving motor function, more so than physical therapy alone.

다른 사람의 행동을 관찰하는 것과 이해하는 것은 다른 사람을 관찰하는 것으로 사회적 그리고 의사소통적 상호작용에서 중요하다. 우리는 지각된 행동의 내부적 표상을 만들고 미래 행동을 예측하는 이들 정보를 사용한다. 행위 관찰은 물리치료만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 보다 운동 기능을 유의하게 향상시키는 임상적 뇌졸중 재활 프로그램에 성공적으로 포함시켜져왔다.

 

Neuroimaging studies have shown similar neural representations between observation and execution, reinforcing the proposal of a human MNS.

신경영상 연구들은 인간 거울신경시스템의 제시를 강조하는 관찰과 실행 사이의 유사한 신경 표상을 보였다.

 

When people observe someone else perform an action, the neural substrates are recruited that are active when they are performing that action themselves.

사람이 누군가 행위를 하는 것을 볼 때, 신경기전은 그들이 스스로의 행동을 수행할 때 활성된 신경 기전이 동원되었다.

 

In addition to the single-cell recordings in monkeys and the human brain-imaging data, there also is behavioral evidence for motor resonance during action observation.

원숭이연구에서 단일 세포 기록과 인간 뇌 이미지 데이터와 더불어서, 행위 관찰 동안 운동 공명에 대한 행동적 증거 또한 있다.

 

This is evidence for motor resonance, because it suggests that the same visual-to-motor pathway that is active when people perform actions is active when people observe actions performed by others.

이것이 운동 공명의 증거이다. 왜냐하면 그것은 사람이 행위를 수행할 때 활성 하는 것과 같은 시각 대 운동 경로가 다른 사람에 의해서 수행된 행위를 관찰할 때 활성 된다는 것을 제시하기 때문이다.

 

Action understanding involves the mental simulation of the observed action using the neural substrates that are involved in performing the acton. It is assumed that the skill to mentally simulated others' actions derives from the ability to observe, predict, and control one's own actions.

행위를 이해하는 것은 행위를 수행하는 것에 포함되는 신경기전을 사용하는 관찰된 행위의 심적 모사를 포함한다. 그것은 다른 사람의 행위를 심적으로 모사한 기술이 한 사람 자신 행위를 조절, 관찰, 예측하는 능력으로부터 파생된다.

 

The idea is that people understand linguistic descriptions of actions by mentally simulating these actions, just like people understand directly observed actions by others through mental simulation. on this view, language understanding can be conceptualized as the language-induced mental simulation of the described actions.

사람은 이들 행위를 모사함으로써 관찰된 행위의 언어적 묘사를 직접적으로 이해한다. 그것은 바로 사람은 심적 모사를 통한 다른 사람에 의해서 직접적으로 관찰된 행위를 이해한다는 것이다.

 

A first step toward developing such simulation-based theories of language comprehension is to examine whether language comprehension produces motor resonance.

언어 이해에 대한 그런 모사에 기반을 둔 이론을 개발하는 첫 단계는 언어 이해가 운동 공명을 만들어 내는지를 검사하는 것이다.

 

There already exists behavioral evidence that language comprehension produces motor resonance.

언어 이해가 운동 공명을 만드는 행동반응 증거가 이미 있다.

 

Motor regions of the brain are active during the comprehension of action words and sentences.

두뇌의 운동 영역은 행위단어와 문장의 이해 동안 활성 된다.

 

They suggested that motor processes are not merely output processes but are a central part of cognition.

그들은 운동 처리가 한낱 출력 처리과정이 아니라 인지의 중요한 부분이라고 제시한다.

 

The human mirror system: A motor resonance theory of mind-reading

Zarinah K. Agnew et al(2007)

 

these mirror neurons respond to execution and observation of goal-orientated actions.

이들 거울신경은 목적 지향된 행위 실행과 관찰에 반응한다.

Preliminary evidence indicates that mirror neurons may be involved in theory of mind:

선행 증거는 거울 신경이 마음 이론에 포함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the human mirror system stems from activity in the inferior parietal lobe, inferior frontal gyrus and superorior temporal sulcus(STS).

인간의 거울 시스템은 inferior parietal lobe, inferior frontal gyrus and superorior temporal sulcus(STS)에서 일어나는 활성으로 이어진다.

 

they found that object-related action observation and execution resulted in increased activation in bilateral dorsal premotor cortex(PMC), intraparietal sulcus, superior temporal sulcus(STS) and right parietal operculum(SII).

그들은 목적과 관련된 행위관찰과 실행이 양쪽 dorsal premotor cortex(PMC), intraparietal sulcus, superior temporal sulcus(STS) and right parietal operculum(SII)에서 증가된 활성을 가져온다는 것을 알아내었다.

 

they concluded that human action recognition is represented by a pattern of activity in middle temporal gyrus, STS and left inferior frontal gyrus including Broca's area.

그들은 인간의 행위재인이 middle temporal gyrus, STS and 브로카 영역을 포함한 left inferior frontal gyrus에서의 활성 패턴에 의해서 표상되었다.

 

Of interest was the activation seen in Broca's area in response to grasping observation, as this is an area previously thought to be dedicated to language.

흥미있는 것은 쥐기동작을 관찰하는 것에 반응하는 브로카 영역에서 나타난 활성이다. 이것은 언어를 전담하는 것으로 이전부터 생각되어온 영역이다.

 

However, the evidence attempting to localize this mirror network has some weaknesses;

그러나 이런 거울 네트워크를 국소화 하려는 증거가 미약하다.

 

theory of mind refers to two concepts: the knowledge that other animals have mental states which may differ from our own; and the ability to infer what these internal stated may be. Such states refer to beliefs, goals, intentions or emotions.

마음 이론은 두가지 개념으로 바라볼 수 있다; 다른 동물들이 우리 자신과는 다를 수 있는 정신 상태를 가진다는 생각; 그리고 이들 내부적인 상태가 아마도 어떤 것일 수도 있다고 추론하는 능력. 그런 상태는 신념, 목적, 의도 또는 정서로 나타낸다.

 

A network including medial prefrontal cortex(PFC), posterior STS and temporal poles is thought to support theory of mind processes.

medial prefrontal cortex(PFC), posterior STS and temporal poles을 포함하는 네트워크는 마음 처리과정의 이론을 뒷받침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Areas implicated in both theory of mind and mirror include superior temporal sulcus and parts of the frontal gyrus and temporoparietal junction.

마음과 거울 이론 모두에 연루된 영역은 superior temporal sulcus, frontal gyrus이 일부, temporoparietal junction를 포함한다.

 

ToM relies on mental simulation of action. 마음이론은 행위에 대한 심적 모사에 의존한다.

 

Human imaging studies have demonstrated that left inferior frontal and right superior parietal cortices are activated in response to both imitation and observation.

인간 영상 연구들은 left inferior frontal and right superior parietal cortices가 모방과 관찰 모두에 반응하여 활성 된다고 증명해왔다.

 

To summarize, data from a vatiety of fields supports the suggestion that the mirror system may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he behavior of others.

요약하면, 다양한 분야의 자료들은 거울 시스템이 다른 사람의 행동을 이해하는 것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제안을 보완해준다.

 

Active perception

Friedemann Pulvermuller & Luciano Fadiga (2010)

 

These data show that language comprehension benefits from frontocentral action systems, indicating that action and perception circuits are interdependent.

이들 자료는 언어 이해가 행위와 지각 회로가 상호의존적이라는 것을 가리키는 전두중앙 행위시스템으로부터 이득을 가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Sensorimotor neurons are active during both action execution and corresponding perceptions.

감각운동 신경은 행위실행과 행위지각 모두 동안 활성한다.

 

According to this 'integration' view, perception, cognition and motor control share neuronal mechanisms to which sensorimotor neuronal are of key importance.

이런 '통합' 관점에 따르면, 인지와 운동 조절은 감각운동 신경이 가장 중요하게 여겨지는 신경기전을 공유한다.

 

Neurometabolic studies confirm that the inferior frontal premotor cortex and the prefrontal cortex are active during the identification and discrimination of speech sounds and also during passive speech perception.

신경대사 연구들은 inferior frontal premotor cortex 와 prefrontal cortex가 음성을 식별하고 구별하는 동안 그리고 수동적 음성의 지각동안에도 활성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Neurophysiological studies of the time course of the processing of action-related words showed rapid activation of motor regions in response to action-related words and early somatotopic mapping of word meaning. This activation occurred 100-250ms after the information needed to identify a stimulus word was present-that is, after the onset of presentation of written words and after the word recognition point of spoken words.

행위관련 처리의 시간과정에 대한 신경생리학적 연구들은 단어의미에 대한 초기 체위상적 사상과 행위관련 단어에 반응하는 운동 영역의 급격한 활성을 보였다. 자극단어를 식별을 위해 요구된 정보가 제시된 이후 100-250ms에서 발생된 이 활성이 나타났다. 즉, 씌어진 단어가 나타난 이후 그리고 말한 단어가 재인된 시점 이후.

 

this early meaning-related motor system activation is probably a manifestation of semantic processing rather than a process that follows meaning comprehension.

이런 초기 의미관련 운동 시스템의 활성은 의미 이해에 따른 처리보다는 의미처리의 징후일 것이다.

 

Action simulation in the human brain

Giovanni Pezzulo. et al., 2013

 

Although the idea of action simulation is nowadays popular in cognitive science, neuroscience and robotics, many aspects of the simulative processes remain unclear from empirical, computational, and neural perspectives.

비록 행위모사의 개념이 현재 인지과학, 신경과학과 로봇공학에서 인기 있다고는 하지만 모사처리의 많은 측면들은 실증적, 전산적, 그리고 신경학적 관점에서 명확하지 않은 채 남아있다.

 

A key tenet of action simulation theories is that the brain employs the same(or similar) neural resources and dynamic representations for executing, imagining, and perceiving actions.

행위모사 이론의 중심이되는 견해는 두뇌가 행위를 실행하고, 이미지화 하고, 지각하는 것에 있어서 역동적인 표상과 같은 신경 자원을 이용한다는 것이다.

 

In the domain of social cognition, many studies have probed the use of simulative mechanisms in perceiving and understanding actions executed by other people.

사회 인지의 영역에서 많은 연구들은 다른 사람에 의해서 실행된 행위를 이해하고 지각하는

것에 있어서 모사기전을 사용하는 것을 조사해왔다.

 

>>>>>>>>>>>>>>>>>>>>>>>>>>>>>>>>>>>>

In an attempt to overcome some of these limitations, the present study used a precuing task and combined the recording of MRPs with the method of spatio-temporal source analysis to examine the brain correlates of advance movement preparation.

이들 제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사전단서 과제를 사용했고 향상된 운동 준비의 뇌 상관물을 검사하기위해서 시공간적 소스 분석의 방법을 가지고 MRPs의 기록을 결합했다.

 

We attempted to find out whether motor preparation is more closely related to PMA activity and motor execution is more closely related to MI activity by comparing the relative location of lateral dipole sources as derived for preparation-related and for execution-related MRP activity, respectively.

우리는 운동 준비가 PMA 활성과 좀 더 밀접하게 관련되고 운동 실행이 MI 활성과 좀 더 밀접하게 관련되었는지를 준비 관련 MRP와 실행관련 MRP에 대해서 파생된 외측 쌍극자 소스와 상대적 위치를 비교함으로써 알아내려했다.


Observing and understanding other people's actions is crucial to our communication and social interactions, By observing others, we create an internal representation of that percived action and use this information to predict future behaviours. Action observation has also been successfully incorporated into clinical stroke rehabilitation programmes, significantly improving motor function, more so than physical therapy alone.

다른 사람의 행동을 관찰하는 것과 이해하는 것은 다른 사람을 관찰하는 것으로 사회적 그리고 의사소통적 상호작용에서 중요하다. 우리는 지각된 행동의 내부적 표상을 만들고 미래 행동을 예측하는 이들 정보를 사용한다. 행위 관찰은 물리치료만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 보다 운동 기능을 유의하게 향상시키는 임상적 뇌졸중 재활 프로그램에 성공적으로 포함시켜져왔다.


Neuroimaging studies have shown similar neural representations between observation and execution, reinforcing the proposal of a human MNS.

신경영상 연구들은 인간 거울신경시스템의 제시를 강화하는 관찰과 실행 사이의 유사한 신경 표상을 보였다.


When people observe someone else perform an action, the neural substrates are recruited that are active when they are performing that action themselves.

사람이 누군가 행위를 하는 것을 볼 때, 신경기전은 그들이 스스로의 행동을 수행할 때 활성된 신경 기전이 동원되었다.


In addition to the single-cell recordings in monkeys and the human brain-imaging data, there also is behavioral evidence for motor resonance during action observation.

원숭이연구에서 단일 세포 기록과 인간 뇌 이미지 데이터와 더불어서, 행위 관찰 동안 운동 공명에 대한 행동적 증거 또한 있다.


This is evidence for motor resonance, because it suggests that the same visual-to-motor pathway that is active when people perform actions is active when people observe actions performed by others.

이것이 운동 공명의 증거이다. 왜냐하면 그것은 사람이 행위를 수행할 때 활성 하는 것과 같은 시각 대 운동 경로가 다른 사람에 의해서 수행된 행위를 관찰할 때 활성 된다는 것을 제시하기 때문이다.


Action understanding involves the mental simulation of the observed action using the neural substrates that are involved in performing the acton. It is assumed that the skill to mentally simulated others' actions derives from the ability to observe, predict, and control one's own actions.

행위를 이해하는 것은 행위를 수행하는 것에 포함되는 신경기전을 사용하는 관찰된 행위의 심적 모사를 포함한다. 그것은 다른 사람의 행위를 심적으로 모사한 기술이 한 사람 자신 행위를 조절, 관찰, 예측하는 능력으로부터 파생된다.


The idea is that people understand linguistic descriptions of actions by mentally simulating these actions, just like people understand directly observed actions by others through mental simulation. on this view, language understanding can be conceptualized as the language-induced mental simulation of the described actions.

사람은 이들 행위를 모사함으로써 관찰된 행위의 언어적 묘사를 직접적으로 이해한다. 그것은 바로 사람은 심적 모사를 통한 다른 사람에 의해서 직접적으로 관찰된 행위를 이해한다는 것이다.  

A first step toward developing such simulation-based theories of language comprehension is to examine whether language comprehension produces motor resonance.

언어 이해에 대한 그런 모사에 기반을 둔 이론을 개발하는 첫 단계는 언어 이해가 운동 공명을 만들어 내는지를 검사하는 것이다.


There already exists behavioral evidence that language comprehension produces motor resonance.

언어 이해가 운동 공명을 만드는 행동반응 증거가 이미 있다.


Motor regions of the brain are active during the comprehension of action words and sentences.

두뇌의 운동 영역은 행위단어와 문장의 이해 동안 활성 된다.

They suggested that motor processes are not merely output processes but are a central part of cognition.

그들은 운동 처리가 한낱 출력 처리과정이 아니라 인지의 중요한 부분이라고 제시한다.

 

 

 

반응형

댓글